Korea's Stolen Children 한국의 납치된 아이들
Whoever takes the child first gets the child. 아이는 먼저 데려가는 사람이 임자
She should have been safe. After months of enduring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from her husband, Courtney Lynn fled to a Korean police station to ask them to find a place in a woman’s shelter for her, her three-month-old son, and two young daughters from a previous marriage. (1)
정상적이라면 그녀에게 안전이 보장되었어야 했습니다. 남편으로부터 몇 달 동안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견뎌낸 후, 코트니 린은 한국 경찰서로 도망 여성 보호소에서 그녀와 세 달 된 아들, 그리고 이전 결혼에서 낳은 두 딸을 위한 거처를 찾아달라고 부탁했습니다. (1)
The domestic violence counsellors at the station agreed to help, and one of them offered to hold her baby while Courtney signed the paperwork to admit her to a shelter. It was only when the social worker stood up that Courtney looked around to see that, unbeknown to her and for reasons that have never been explained, her husband and his mother had also been called into the station. The social worker handed over her baby to her mother-in-law. Courtney desperately tried to reach her son, but her husband blocked her. She begged repeatedly for them not to let her mother-in-law leave, finally getting on her knees and saying “I’m the mother and I don’t give her permission to take my son”.
가정 폭력 보호소의 상담사들은 도와주기로 했고, 그 중 한 명은 코트니가 보호소에 그녀를 받아들이기 위한 서류에 서명하는 동안 그녀의 아기를 안고 있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사회복지사가 일어나자 코트니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 그리고 어찌된 일인지 그녀의 남편과 그의 어머니도 보호소로 불려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그녀의 아기를 시어머니에게 넘겼습니다. 코트니는 필사적으로 아들에게 다가가려고 했지만, 그녀의 남편은 그녀를 막았습니다. 그녀는 시어머니가 떠나지 않도록 반복해서 간청했고, 결국 무릎을 꿇고 "저는 아이의 어머니이고, 제 아들을 데려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라고 호소했습니다.
Yet, in full view of all the social workers and police, her mother-in-law left. When Courtney got home nearly all the baby things were missing. Her husband messaged her that from now on her baby would be held at her in-law’s apartment, where she would not be allowed to see him.
The police claimed that Courtney willingly handed over her baby to her mother-in-law, yet when she requested the release of the release of the station CCTV footage that should have captured the moment her baby was taken, they refused to do so (2). What’s more, when Courtney knocked on her in-law’s door a week after her baby was taken and begged to see him, the police escorted her out the building for trespassing. The fact that her baby was taken was seen as ‘a family matter’ that the police were not to be involved in.
It was six months before she’d see her son again.
그러나 모든 사회복지사와 경찰이 지켜보는 가운데 그녀의 시어머니는 떠났습니다. 코트니가 집에 돌아왔을 때 아기용품은 거의 다 없어졌습니다. 그녀의 남편은 그녀에게 지금부터는 그녀의 아기가 시어머니의 아파트에 맡겨질 것이며, 그곳에서는 아기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경찰은 코트니가 자의에 의해 아기를 시어머니에게 넘겼다고 주장했지만, 그녀가 아기가 끌려간 순간이 녹화되어 있을 경찰서 CCTV 영상을 공개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그들은 거부했습니다(2). 게다가, 아기가 끌려간 지 일주일 후 코트니가 시어머니의 문을 두드리고 아기를 보고 싶다고 간청했을 때 경찰은 그녀를 불법 침입 혐의로 건물 밖으로 끌고 나갔습니다. 아기가 끌려간 사실은 경찰이 개입해서는 안 될 '가족 문제'로 치부되었습니다.
그녀가 아들을 다시 볼 수 있었던 것은 무려 6개월이 지나서 였습니다.
Courtney has now been attending court hearings with the Korean family court for months, while being provided with barely any mean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her only son. Today, Courtney is probably one of the greatest, and certainly the most visible, victims of a Korean family law system that follows the principle: “Whoever takes the child first gets the child”.
코트니는 이제 몇 달 동안 한국 가정법원에서 법정 심리에 참석해 왔지만, 하나 뿐인 아들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단은 거의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코트니는 아마도 " 아이는 먼저 데려가는 사람이 임자" 라는 원칙을 따르는 한국 가족법 체계의 가장 크고 확실히 가장 눈에 띄는 희생자 중 한 명일 것입니다.
Interruption of parental rights can be an issue in any country, especially following the breakdown of a marriage. But in Korea it’s not merely a possibility. It’s the norm.
On its South Korea page, the organization Find My Parent (3) notes that ‘According to official statistics from South Korea’s Institute of Judicial Policy, after divorce, children in South Korea regularly continue to meet both parents in only about 10% of all divorces in which children were involved. In 20% of cases, the children only met the non-custodial parent for special occasions. And in an additional 6% of cases, contact only happened online. So, for 64% of the divorces with children, there was no contact at all with the non-custodial parent after the divorce.’ This amounts to ‘roughly 38,600 children entirely cut off from one of their parents per year’.
부모의 양육권 침해는 어느 나라에서나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결혼 생활이 파탄된 후에는 더욱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있는데서 그치지 않습니다. 이는 사회적으로 만연해 있는 현상입니다.
Find My Parent(3)라는 단체는 한국 페이지에서 '한국 사법정책연구원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이혼 후 한국에서 아이들이 정기적으로 두 부모를 계속 만나는 경우는 아이들이 관련된 모든 이혼의 약 10%에 불과합니다. 20%의 경우, 아이들은 특별한 경우에만 비양육권 부모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6%의 경우, 온라인에서만 접촉했습니다. 따라서 자녀가 있는 이혼의 64%는 이혼 후 비양육권 부모와 전혀 접촉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매년 약 38,600명의 아이들이 부모 중 한 명과 완전히 단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Not all of this lack of contact is due to the non-custodial parent being forced out of their child’s life. When I first moved to Korea, I was surprised to find it is not at all unusual for the noncustodial parent, both mothers and fathers, to give up on seeing their kids altogether following a divorce, as though the old family never existed.
But there are also so many parents who are forced out of their child’s life, regardless of how hard they fight to stay in it. The two biggest culprits of the problem are Korea’s deeply rooted notion of sole custody system, and the fact that the country never developed a system to protect or enforce the other parent’s parental rights.
이러한 접촉 부족은 모두 양육권이 없는 부모가 자녀의 삶에서 강제로 배제되기 때문은 아닙니다. 제가 처음 한국으로 이사했을 때, 양육권이 없는 부모, 즉 어머니와 아버지가 이혼 후 자녀를 보는 것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이 전혀 드문 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마치 기존의 가족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자녀의 삶에서 강제로 쫓겨나는 부모도 너무나 많습니다. 이 문제의 가장 큰 두 가지 원인은 한국의 깊이 뿌리박힌 단독 양육권 제도라는 관념, 그리고 국가적으로 부모의 양육권을 보호하거나 집행하는 제도를 전혀 마련하지 못했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Many countries have joint custody as the norm. This recognizes that, unless one parent is seriously unsuitable to be around children due to being abusive or having severe drug or alcohol problems, neither parent deserves to lose all rights to see their child, and the child deserves to have both parents in their life.
However, ‘In South Korea, sole custody is overwhelmingly common in practice, especially if the divorce was not amicable. South Korean law technically does allow for joint custody after a divorce, but it is close to meaningless. As soon as there is any non-trivial disagreement after joint custody has been ordered, the court will revert to sole custody instead.’ (3)
많은 국가에서는 공동 양육권을 표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부모 중 한 명이 학대하거나 심각한 약물 또는 알코올 문제로 인해 자녀와 함께 있기에 심각하게 부적합하지 않는 한, 어느 부모도 자녀를 볼 권리를 모두 잃을 자격이 없으며 자녀는 두 부모를 모두 자신의 삶에 두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단독 양육권이 관행적으로 압도적으로 일반적이며, 특히 이혼이 우호적이지 않은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한국 법은 형식적으로는 이혼 후 공동 양육권을 허용하지만 사실상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공동 양육권이 명령된 후 사소하지 않은 의견 불일치가 발생하는 즉시 법원은 단독 양육권으로 되돌아갑니다.'(3)
This sole custody system creates an all or nothing battle following divorce. There may well be two suitable loving parents desperate to stay in their children’s lives. But in Korea there can only be one winner, with one parent having their parental rights stripped from them, sometimes for no other reason than that the other parent earned more or was the first to grab their child and run.
The losing parent is supposed to be given visitation rights. While a few may be lucky enough to take their children home on weekends, for many these visitation rights are limited to just two hours per month at a visitation center, a pitifully short amount of time to maintain a parent-child relationship.
이 단독 양육권 제도는 이혼 후 “모 아니면 도” 싸움을 야기합니다. 많은 경우 두명의 부모가 모두 자녀와 관계를 갖고 살아가기를 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승자가 한 명뿐이며, 한 쪽 부모가 더 많은 수입을 얻거나 자녀를 가장 먼저 붙잡아 달아났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쪽 부모는 양육권을 박탈당합니다.
패한 부모는 최소한 면회권은 부여받아야 합니다. 일부는 주말에 자녀를 집으로 데려갈 만큼 운이 좋을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이러한 면회권은 면접교섭 센터에서 한 달에 단 2시간과 같이 제한되어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유지하기에는 너무나 짧은 시간이 되어버립니다.
As I say, the losing parent is supposed to be given visitation rights. The reality is that these rights are frequently ignored, where court orders are near unenforceable and hence almost worthless. (3) If the custodial parent is feeling vindictive, and let’s face it, in the aftermath of any divorce many people are, then it’s all too easy for them to block the other parent altogether, making up excuses that the child is too sick or just doesn’t feel like it today. During this time, the custodial parent can easily tell lies about the other parent, painting an image of a bad mother or father that never wanted to see them anyway.
The left behind parent has no other choice but to appeal to the courts for the visitation rights to be enforced, a tedious process that can take years. The custodial parent will eventually receive nothing more than a small fine, if that, for denying the other parent their court given right to see their child. By the time this occurs, the child will likely have lost all memory of the left behind parent.
제가 말했듯이, 패배한 부모는 이론적으로는 면회권을 부여받아야만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마저도 이러한 권리가 종종 무시되고, 법원 명령은 거의 집행 불가능하고 따라서 거의 가치가 없다는 것입니다. (3) 양육권자가 복수심을 갖고 있다면, 그리고 사실 이혼 후 많은 사람들이 그런 것이 현실이기에, 그들은 다른 부모를 완전히 차단하고, 아이가 너무 아프거나 오늘은 그럴 기분이 아니라는 변명을 늘어놓기가 너무 쉽습니다. 이 기간 동안 양육권자가 다른 부모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어차피 너를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엄마나 아빠의 나쁜 이미지를 주입시키는 것이 너무 쉽습니다.
남겨진 부모는 면회권을 집행하기 위해 법원에 항소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으며, 이는 수년이 걸릴 수 있는 지루한 절차입니다. 양육권자는 결국 다른 부모에게 법원에서 부여한 자녀를 볼 권리를 거부한 것에 대해 소액의 벌금 만을 받을 것이고, 이런 일이 일어날 때쯤이면 아이는 남겨진 부모에 대한 모든 기억을 잃어버렸을 가능성이 큽니다.
This makes the divorce process essentially a battle to bring the child into one’s possession, using any unethical and immoral means possible to cut off the other parent. The result is that ‘The practice (of parental abduction) is known to be common (in Korea) due to the tradition of family law courts awarding custody to the abducting parent and not penalizing the act of taking a child away from another parent… Courts are reluctant to change the de facto caretaker of a child, so “he or she who abducts first wins.”’ (3) The violation of other parent’s access rights has no repercussions, and as such leads to tragedies such as the one Courtney is suffering now.
이는 이혼 절차를 본질적으로 아이를 자신의 소유로 데려오기 위한 싸움으로 만들고, 가능한 모든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수단을 사용하여 다른 부모를 차단합니다. 그 결과 '(부모 납치의) 관행은 가족법원이 납치한 부모에게 양육권을 부여하고 다른 부모에게서 아이를 빼앗는 행위에 대해서는 처벌하지 않는 전통 때문에 (한국에서)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법원은 아이의 사실상 보호자를 바꾸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먼저 납치한 사람이 이깁니다." (3) 다른 부모의 접근권 침해는 아무런 제재가 없고, 그로 인해 코트니가 지금 겪고 있는 것과 같은 비극으로 이어집니다.
Such situations have usually received little in the way of press coverage in Korea. One exception concerned a Vietnamese woman who married an older Korean man. They had two daughters together, but soon after giving birth her husband took both children from her and gave them to his ex-wife to be raised as her own. Following the birth of the second girl the man promptly divorced his Vietnamese wife and refused her any access to her daughters. (4)
By the time the biological mother was able to go through the painfully slow court process it ruled against her having custody. The court cited the children's "lack of awareness" of her as their mother” as the reason (5) and that the reason the babies were taken from her “was not the point of the case.''
이런 상황은 한국에서 언론에 거의 보도되지 않았습니다. 한 가지 예외는 나이 많은 한국 남성과 결혼한 베트남 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들은 두 딸을 두었지만, 출산 직후 그녀의 남편은 두 아이를 모두 그녀에게서 빼앗아 전처에게 주어 그녀의 친자식처럼 키우게 했습니다. 두 번째 딸이 태어난 후, 그 남자는 베트남인 아내와 즉시 이혼하고 그녀가 딸들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했습니다. (4)
생모가 고통스러울 정도로 느린 법원 절차를 모두 밟은 끝에, 법원은 그녀에게 양육권을 부여하지 않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법원은 아이들이 그녀가 어머니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을 이유로 들었고(5), 아기를 빼앗긴 이유가 "사건의 핵심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This Vietnamese woman was meant to be given weekly visits due to ‘her rights as a biological mother’, but her lawyer admitted that such ‘rights’ are worthless in terms of their enforceability. “The court allowed the meeting, but it doesn't necessarily mean the meeting will be realized any time soon,'' the lawyer told The Korea Times. “If the former husband refuses, it's impossible for her to meet them.'”
That case was eighteen years ago, but the practice of nearly always awarding sole custody to one parent in any dispute, combined with turning a blind eye to parental abduction, means that such tragic scenarios continue to occur.
이 베트남 여성은 ‘생모로서의 권리’로 인해 매주 방문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그녀의 변호사는 그러한 ‘권리’는 집행 가능성 측면에서 가치가 없다고 인정했습니다. 변호사는 The Korea Times에 “법원이 면회를 허용했지만, 반드시 면회가 곧 실현될 것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 남편이 거부하면 그녀가 면회를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사건은 18년 전의 일이지만, 분쟁에서 거의 항상 한쪽 부모에게 단독 양육권을 부여하는 관행과 부모의 유괴에 눈을 감는 관행이 결합된 이런 비극적인 상황은 여전히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Denying one parent access to their child has even led to fatal outcomes. In 2023 a twelve-year-old boy was badly abused by both his father and his stepmother, ultimately leading to his death. (6) His mother, the loser in the custody battle, had been unable to see her son in five years, despite supposedly being allowed visitation. One can’t help but suspect that had she still been able to see her son she would have recognized the abuse he was suffering, and so been able to save his life.
The following are both cases from people I’ve been in touch with directly or heard from their friends:
한쪽 부모가 자녀에게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2023년에 12살 소년이 아버지와 계모에게 심하게 학대를 당했고, 결국 사망에 이르렀습니다. (6) 양육권 분쟁에서 패한 그의 어머니는 면회가 허용되었다고 하더라도 5년 동안 아들을 볼 수 없었습니다. 그녀가 아들을 여전히 볼 수 있었다면 아들이 겪고 있는 학대를 알아차리고 그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의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연락했거나 친구에게 들은 사람들의 사례입니다.
One Korean mother last saw her son at three years old before all access was blocked by the father. Five years later on, she was finally allowed an hour long visitation every fortnight at a visitation center. Only then did she find that her now eight-year-old son had been given over to her former husband’s new mother-in-law, where he had been raised to believe that his step gran was his biological mom.
한 한국인 어머니는 아버지가 모든 접근을 차단하기 전인 3살 때 아들을 마지막으로 보았습니다. 5년 후, 그녀는 마침내 2주마다 방문 센터에서 1시간 동안 면회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서야 그녀는 지금 8살인 아들이 전 남편의 새 시어머니에게 맡겨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그 새 할머니가 자신의 친어머니라고 믿도록 자랐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A foreign woman had a baby with a man with whom she wasn’t married, and had presumed she would raise him as a single mom. Yet the father applied for full custody and got it because he was wealthier and had more heritage in Korea. Her son was taken from her at three months old, and when the man’s family moved cities three months after that she never saw her baby again.
외국인 여성이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남자와 아이를 낳았고, 싱글맘으로 아이를 키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 아버지는 전적인 양육권을 신청하여 그것을 부여받았습니다. 그가 더 부유하고 한국에서 더 많은 유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게 그녀의 아들은 3개월 때 그녀에게서 빼앗겼고, 그 남자의 가족이 그로부터 3개월 후 도시로 이사했을 때 그녀는 다시는 그녀의 아기를 보지 못했습니다.
Parental abduction in Korea has drawn more attention when the child was abducted from an outside country, and therefore a foreign government is involved.
Perhaps the most famous case is John Sichi, who spent hours walking on a treadmill across various locations in Seoul to raise awareness of how his two young children had been taken from America to Korea and were being withheld from him. John was his children’s sole custodian based on the court decision at home in California. Korea had signed the Hague convention stating that it would promptly return any children that were wrongfully taken into their country. Yet, it was four long years before John could finally be reunited with his kids. (7)
한국에서 부모 납치는 아이가 외국에서 납치되어 외국 정부가 개입했을 때 더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마도 가장 유명한 사례는 존 시치일 것입니다. 그는 서울의 여러 장소를 러닝머신에서 몇 시간 동안 걸으며 두 어린 자녀가 미국에서 한국으로 끌려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습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본국 법원의 판결에 따라 존은 자녀의 유일한 보호자였습니다. 한국은 헤이그 협약에 서명하여 부당하게 한국으로 끌려온 자녀를 즉시 반환하겠다고 명시했습니다. 그러나 존이 마침내 아이들과 재회하기까지는 무려 4년이 걸렸습니다. (7)
Sadly, John Sichi’s successful reunification with his children remains the exception, not the rule, and Korea routinely ignores the Hague convention. A number of other parents still struggling to be reunited with their abducted children, only for court orders to go unenforced again and again. This includes dads like Jay Sung and Mike Fallon.
Jay’s son Bryan (Korean name June Sung, 성준, pictured below) was taken from America to Korea when he was only three years old and never returned. Over five years and six failed return attempts later, Jay is still fighting to be reunited with Bryan. (8) He describes his situation as “a systemic problem of the Korean legal structure that doesn't prevent parental abduction. It actually encourages it by rewarding the abductor with a de facto custody. Making the Left-Behind-Parent helpless with no means of recovering the child, even with court orders.”
안타깝게도 존 시치가 자녀와 재회하는 데 성공한 것은 예외일 뿐이고 규칙은 아니며 한국은 헤이그 협약을 일상적으로 무시합니다. 납치된 자녀와 재회하기 위해 여전히 고군분투하는 다른 부모들이 있지만, 법원 명령은 계속해서 집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제이 성과 마이크 팰런과 같은 아빠들이 포함됩니다.
제이의 아들 브라이언(한국 이름 성준, 아래 사진)은 불과 3살 때 미국에서 한국으로 끌려갔고 결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5년이 넘고 6번이나 반환 집행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후에도 제이는 여전히 브라이언과 재회하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8) 그는 자신의 상황을 "부모 납치를 막지 못하는 한국 법률 체계의 구조적 문제"라고 설명합니다. "사실상 납치범에게 사실상의 양육권을 부여함으로써 납치를 조장합니다. 남겨진 부모를 무력하게 만들고 법원 명령이 있어도 자녀를 되찾을 방법이 없습니다."
Mike's son was also taken to Korea without his consent in August 2023. On January 19th of 2024 he knocked on the door of his former in-laws with court orders permitting him to see his son. Yet despite being the legal guardian, police came to escort him from the building and threatened to arrest him. (9)
Based on the international treaty that Korea signed, called Hagu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Korea has an obligation to return children abducted from another country like these two children.
The aim of both men is to take their sons back to America, where they were being raised before, and where a joint custody agreement could still be set up that would give both mother and father legal rights to see and care for them.
마이크의 아들도 2023년 8월 그의 동의 없이 한국으로 데려가졌습니다. 2024년 1월 19일 그는 법원 명령으로 아들을 볼 수 있도록 허락받고 전처 식구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법적 보호자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이 그를 건물 밖으로 끌고 나와 체포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9)
국제 아동탈취에 관한 헤이그 협약에 따라 한국은 이 두 어린이들과 같이 다른 나라에서 유괴된 아이들을 돌려줄 의무가 있습니다. 이들 두 아빠의 목표는 협약에 따라 아들을 원래 살았던 미국으로 데려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곳에서는 공동 양육권 합의를 통해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 아들을 볼 수 있는 법적 권리를 줄 수 있습니다.
These parental abduction cases, whether it happened within Korea or internationally, are more prevalent than many might think. The reason why it is relatively unknown to the public is not only due to it often being considered a private family matter, but also because of the chilling effect of Korea’s defamation laws which mean many have been too scared to speak out publicly.
But in a break from this norm, Courtney Lynn chose to go public with what had happened to her and her son. She deleted the old videos from her Youtube channel 'Courtney the enthusiast' and from July 2024 began updating about her experience of both infant abduction and domestic violence at the hands of her former husband.
이러한 부모 납치 사건은 한국 내에서든 국제적으로든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흔합니다. 대중에게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종종 사적인 가족 문제로 간주되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악명 높은 한국의 명예 훼손법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공개적으로 말하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속박에도 불구하고 Courtney Lynn은 자신과 아들에게 일어난 일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그녀는 YouTube 채널 'Courtney the enthusiast'에서 오래된 영상을 삭제했고 2024년 7월부터 전 남편에게 유아 납치와 가정 폭력을 겪은 경험에 대해 업데이트하기 시작했습니다.
Claims of domestic violence in divorce cases from one or even both parties are hardly uncommon. To the outside observer it’s often hard to know who to believe in when it’s just one person’s word against another.
However, in Courtney’s case multiple videos, photo and text message evidence have been uploaded to both her Youtube and Tiktok channels, including the photo below. Towards the end of their relationship, Courtney’s husband would continuously harass and block her as she tried to leave the apartment to take her two young daughters to school. He took the below photo and sent it to her as ‘proof’ that she was trying to leave with the baby without his ‘permission’.
이혼 소송에서 한쪽 또는 양쪽 당사자가 가정 폭력을 주장하는 것은 그리 드문 일이 아닙니다. 외부 관찰자에게는 한 사람의 말과 다른 사람의 말만 다를 때 누구를 믿어야 할지 알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Courtney의 경우 여러 동영상, 사진 및 문자 메시지 증거가 아래 사진을 포함하여 그녀의 Youtube와 Tiktok 채널에 모두 업로드되었습니다. 두 사람의 관계가 끝나갈 무렵, Courtney의 남편은 그녀가 두 어린 딸을 학교에 데려다주기 위해 아파트를 나가려고 할 때 그녀를 계속 괴롭히고 차단했습니다. 그는 아래 사진을 찍어 그녀가 그의 '허락' 없이 아기를 데리고 나가려고 한다는 '증거'로 그녀에게 보냈습니다.
I make no pretense at feeling neutral about whose side I take in this case, and could fill this whole article with descriptions and links to evidence that illustrate how Courtney’s former husband is horrifically unsuitable for a baby to now be under ‘his care’.
Perhaps the most shocking of all is an event that occurred back in November of 2023, when Courtney was 32 weeks pregnant. (1) Following a prolonged attack from her husband, the beginning of which she caught on video, Courtney fled the apartment in her underwear and ran to a nearby shop, where she felt a sudden pain in her womb. Her husband beating her had caused her to go into early contractions, and she had to spend several days in hospital hooked up to medication to prevent her son from being born too early. During all this time her husband refused to pay for anything or even visit once, boasting to the nurses that called that he didn’t care and it was ‘not my problem’.
저는 이 사건에서 누구 편을 드는지에 대해 굳이 중립적이라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Courtney의 전 남편이 아기를 '자신의 보살핌'을 받는 데 끔찍하게 부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에 대한 설명과 링크로 이 기사 전체를 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가장 충격적인 것은 Courtney가 임신 32주차였던 2023년 11월에 일어난 사건일 것입니다. (1) 남편의 장기간 공격 이후, 그녀가 비디오로 처음 본 후, Courtney는 속옷 차림으로 아파트에서 도망쳐 근처 가게로 달려갔고, 그곳에서 자궁에 갑자기 통증을 느꼈습니다. 남편이 그녀를 때리면서 그녀는 조산을 겪었고, 그녀는 아들이 너무 일찍 태어나지 않도록 약을 복용하며 며칠을 병원에 입원해야 했습니다. 이 모든 시간 동안 그녀의 남편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고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으며, 전화를 건 간호사에게 상관하지 않으며 '내 알 바가 아니다'고 하였습니다.
Evidence for the event that hospitalized Courtney, alongside that of other abuse, was presented to the court that is overseeing her son’s custody case. What influence did evidence that this man had nearly killed his son before he was even born have on their decision as to whether he should be granted custody? Seemingly, none at all. Back in September, he was given temporary custody of the baby because he was the one with whom the baby happened to be living with, and it was not considered in the baby’s best interests to move him from a home he was now used to. (10)
Yet if taking young children away from a home and parental figure is considered not in the child’s best interests, then why did police not act the very first time her baby was snatched from his sole caregiver and taken to an unfamiliar place? The court places heavy emphasis on who the baby is staying with for now, without giving consideration as to how they came to be there in the first place, and in doing so remains a system that not only doesn’t punish any parent who blocks the other from seeing their child, but actively rewards them.
Courtney를 병원에 입원시킨 사건에 대한 증거와 다른 학대의 증거가 그녀의 아들의 양육권 사건을 감독하는 법원에 제시되었습니다. 이 남자가 아들이 태어나기도 전에 거의 죽일 뻔 했다는 증거가 그에게 양육권을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그들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듯합니다. 지난 9월, 그는 이유야 어쨌든 아기와 함께 살고 있고, 아기가 이제 익숙해진 집에서 그를 옮기는 것이 아기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논리 때문에 아기의 임시 양육권을 받았습니다. (10)
하지만 어린 자녀를 집과 부모로 부터 떼어내는 것이 자녀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면, 왜 경찰은 그녀의 아기가 유일한 보호자에게서 납치되어 낯선 곳으로 옮겨졌을 때 처음으로 조치를 취하지 않았을까요? 법원은 아기가 처음에 어떻게 그곳에 있게 되었는지는 고려하지 않고 지금 누구와 함께 지내는지에만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녀를 만나는 것을 막는 부모를 처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보상하는 시스템으로 남아 있습니다.
Courtney’s former husband has now been found guilty of three counts of assault against her, plus one count of child abuse. In my opinion he should have been found guilty of child abuse towards his own son, though in the end it was his behavior towards one of Courtney’s daughters that left him with a child abuse conviction. Her two daughters are thankfully still with her, although at one point her ex even tried to gain custody of them too. (11)
The battle for final custody is still ongoing, with the final outcome due at the end of March Courtney has continued to document her experiences with the Korean court system, and in doing so has revealed a troubling picture of a legal system that has so far continued to favor the man who nearly killed their baby over the woman who birthed him.
Courtney의 전 남편은 이제 그녀에 대한 폭행 혐의 3건과 아동 학대 혐의 1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제 생각에 그는 자신의 아들에 대한 아동 학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어야 했지만, 결국 Courtney의 딸 중 한 명에 대한 그의 행동으로 인해 아동 학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다행히도 그녀의 두 딸은 여전히 그녀와 함께 있지만, 한때 그녀의 전 남편은 그들에 대한 양육권을 얻으려고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11)
최종 양육권을 위한 싸움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최종 결과는 3월 말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Courtney는 한국 법원 시스템에서의 경험을 계속해서 기록했으며, 그렇게 하면서 지금까지 아기를 거의 죽인 남자를 출산한 여성보다 선호해 온 법률 시스템의 걱정스러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At the temporary custody hearing back in September her ex was currently still under investigation on child abuse charges, and the judge said that if he were found guilty then temporary custody would likely change over to Courtney. Yet three months since he was found guilty, no change has been made. At one court hearing, she was told that her ex now being found guilty ‘would not be the defining factor in whether he received custody’.
Courtney has been forced to pay $300 per court visit for a translator, and when she requested that she be allowed to hire a cheaper, but equally qualified interpreter, the court refused as her ex was uncomfortable with the idea. (12)
9월에 열린 임시 양육권 심리에서 그녀의 전남편은 현재 아동 학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었고, 판사는 그가 유죄 판결을 받으면 임시 양육권이 Courtney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유죄 판결을 받은 지 3개월이 지났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한 법정 심리에서 그녀는 전남편이 지금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이 '그가 양육권을 받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Courtney는 통역사를 위해 법원 방문당 300달러를 내야 했고, 더 저렴하지만 동등한 자격을 갖춘 통역사를 고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을 때 법원은 전남편이 그 의견을 내켜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12)
During this time, Courtney has only been allowed to see her son twice a month for one hour only at a visitation center. On one occasion, she had spent nearly $100 on getting to the visitation center, only for her ex to call ten minutes after visitation should have started with the claim that ‘the baby is sick’.
Unlike some parents, Courtney is not allowed to have her child at her own home at the weekends as ‘the court says I can’t because of the risk of abuse and conflict that happened between my son’s father and I’. So instead of spending time in the safety of her own home with her son, she is forced to sit beside the man who abused her for months for the only time she can spend with her baby. Because of ‘the risk of abuse and conflict’. If you’re struggling to make any sense of the court’s ruling on that, you’re not alone.
이 기간 동안 Courtney는 방문 센터에서 한 달에 두 번, 한 시간 동안만 아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한 번은 방문 센터에 가는 데 거의 100달러를 썼는데, 방문이 시작된 지 10분 만에 전 남편이 전화를 걸어와서 '아기가 아프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부 부모와 달리 Courtney는 주말에 자녀를 자기 집에 두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법원에서 아들의 아버지와 저 사이에 일어난 학대와 갈등의 위험 때문에 그럴 수 없다’ 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들과 함께 안전한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대신, 그녀는 몇 달 동안 그녀를 학대했던 남자 옆에 앉아 아기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학대와 갈등의 위험' 때문입니다. 법원의 판결이 뭔가 이상하다고요? 그렇게 느끼는게 혼자만은 아닐 것입니다.
Unsurprisingly, this has led to visits being a tense affair. On her second to last visit before she had to start work, her former husband sneered that ‘looks like your baby hates you’ when her son was a little grouchy. (13)
The court wants Courtney to earn a full-time wage, which she is now doing, while also requiring that she be present Mondays for visitations. If she misses any of these visitations, then she loses any chance of custody.
놀랄것도 없이, 이로 인해 방문은 긴장감이 감도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녀가 일을 시작하기 전 두 번째로 마지막 방문을 했을 때, 그녀의 전 남편은 그녀의 아들이 약간 투덜거렸을 때 '당신 아기가 당신을 싫어하는 모양이군요'라고 조롱하였습니다. (13)
법원은 Courtney가 현재 하고 있는 정규직 임금을 받기를 원했고, 또 한편으로는 월요일에 방문을 위해 그녀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그녀가 이러한 방문 중 하나라도 놓치면 양육권을 잃을 것입니다.
스트레스가 많은 몇 주였습니다. 법원은 제가 내년에 가능한 한 빨리 자녀 부양비를 지불하기를 원합니다(양육권 소송이 진행 중인 동안은 그렇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법원이 면회를 재정적 학대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명확한 사례를 말했을 때, 법원은 사실상 저에게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저는 좋은 수입이 있고 지금 당장 자녀 부양비를 지불할 수 있으며, 양육권을 원한다면 좋은 근무 일정과 함께 좋은 수입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하는게 정상이라는 것, 그리고 그 누구도 아들과의 면회를 위해 미리 월요일 휴무를 요청한 사람을 고용하고 싶어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싶습니다...
법원은 양육권이 곧 결정될 때까지 제가 일을 시작한 것 때문에 면접교섭을 지키지 않으면 자동으로 양육권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이건 어떻게 해도 이길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저는 상대 부모에게 연락했는데, 그들은 제 아들의 사진을 요구하거나, 주말로 방문 일정을 변경하는 요청 등을 계속 무시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이혼 중에 통제 또는 재정적인 형태로 학대가 계속 발생하도록 법원이 허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제가 아는 다른 부모들은 주말 방문을 위해 아이들을 집으로 데려오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그들의 일은 방문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제 아들의 아버지와 저 사이에 발생한 학대와 갈등의 위험 때문에 저는 허용 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저는 아이를 데려다주고 데려가는 것이 면접교섭 센터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상대와 대면할 필요가 없다고요.
그럼에도 모든 것은 여전히 아들의 아버지에게만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저는 1월/2월/3월 학년도에 채용하는 일자리를 수락하기도 힘들 것 같아 보입니다.
그들은 정규직 교사를 원합니다. 그러나 저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할 수 없다면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와 같이 높은 수입이 있는 좋은 근무 시간도 할 수 없습니다. 한국의 법원 시스템은 학대자와 엘리트(또는 생계를 보장해 줄 친인척이 있거나 돈이 많은 사람들)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피해자와 법원과 협력하고 법원에 정직하려고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은 결국 패배하는 결과를 얻는 것 같습니다.
That a man who has already beaten his pregnant wife would also seek to misuse the timing of visitations to further abuse her is hardly a surprise. What is surprising is how the court lets him dictate just when and where Courtney can see her own son, as though they have no say in the matter.
Over the next couple of months, court officials will decide who is most suited for final custody, including watching both parties for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child. But how can a woman rebuild the mother-son relationship that was ripped from her when she’s restricted to just two hour long visitations per month?
Lastly, but by no means the least absurdly, from the end of January Courtney has also been required to pay child support to the child abuser who has stolen her baby.
임신한 아내를 이미 때린 남자가 면회 시간을 교묘히 이용해 아내를 더욱 학대하려 한다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놀라운 점은 법원이 그가 코트니가 아들을 언제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지시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입니다. 마치 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아무 권한도 없는 것처럼 말입니다.
앞으로 몇 달 동안 법원 관리들은 누가 최종 양육권에 가장 적합한지 결정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양측이 자녀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감시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한 달에 면회 시간이 2시간으로 제한되어 있을 때, 어떻게 모자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은, 1월 말부터 코트니는 아기를 훔친 아동 학대자에게 자녀 부양비를 지불해야 했다는 것입니다.
Since Courtney began publicly documenting her attempts to see her baby again, at least a dozen other foreigners have contacted her to share their own stories of either having their babies and young children ripped from them or staying in abusive relationships for fear that they will never see their children again if they leave.
At a time when Korea’s low birth rates are in the newspapers every other day, Courtney’s case, and others like hers, are the worst imaginable advertisement for starting a family in Korea. Many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for tackling the falling birth rates, from simply throwing money at would be parents to, bizarrely, changing the age at which girls start school (14). The policy of not allowing babies to be ripped from mothers and then siding with their abductors has, so far as I’m aware, not been proposed.
코트니가 아기를 다시 보려는 시도를 공개적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로, 적어도 12명 이상의 외국인이 그녀에게 연락하여 아기와 어린 자녀를 빼앗겼거나, 떠나면 자녀를 다시 볼 수 없을까봐 학대를 받는 상황에 머물러야 했던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유했습니다.
한국의 저출산율이 매일같이 신문에 실리는 시기에, 코트니의 사례와 그녀와 비슷한 다른 사례는 한국에서 아이를 낳는 것을 더욱 꺼려하게 만드는 일일 것입니다. 출산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전략이 제안되었는데, 그것은 단순히 부모가 될 사람에게 돈을 주는 것부터 놀랍게도 여학생의 학교 시작 연령을 바꾸는 것에 이르기 까지 다양했습니다(14). 아기를 어머니에게서 빼앗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납치범 편을 들지 않도록 하는 정책 제안은 내가 아는 한 나온 적이 없습니다.
A court system that ignores parental abduction is not at all representative of the will of many Korean people. Of the Koreans who commented on Courtney’s videos, their responses have been almost unanimously supportive. Most were disgusted that something like this could be happening in their country, and talked of how the system desperately needs to change. Koreans deserve better than to have their country known, as the Joongang Ilbo puts it, ‘a haven for child abductors’.
Much has been said in the past couple of years about the corruption that was rife in Korea’s adoption system, with documents missing and forged in order to move children more easily out of the country. In some shocking cases, it turned out that children had even been kidnapped. (15) It is, thankfully, an issue that finally is getting the attention it deserves.
부모의 유괴를 무시하는 법원 시스템은 많은 한국인의 여론을 전혀 대표하지 못합니다. 코트니의 영상에 댓글을 단 한국인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지지를 표했습니다. 대부분은 이런 일이 자국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에 혐오감을 느꼈고, 이 시스템이 절실히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앙일보가 말했듯이, 한국인들은 자국이 '아동 유괴범의 안전지대' 로 알려지는 것 보다 더 나은 이미지를 가질자격이 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한국의 입양 시스템에 만연한 부패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아이들을 더 쉽게 국외로 빼내기 위해 문서가 누락되거나 위조되었습니다. 충격적인 사례에서는 아이들이 납치된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15) 다행히도 이 문제는 마침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And yet the press remains reluctant to report on the children that Korea is allowing to be kidnapped right now. Why, in the year 2025 in this country, do I even find it necessary to write an essay whose main points are ‘child abduction is bad’ and ‘people who have already nearly killed babies shouldn’t be given custody of them’?
I hope that we don’t have to wait decades for a truth and reconciliation movement to address the issue of parental abduction and isolation within Korea. For a generation of children to grow up to discover that they too have been raised with lies. To find out that they missed out on loving mothers and fathers who had not in fact abandoned them, but had fought hard to stay in their lives only to be blocked by a combination of selfish parents and a legal system that preferred to look the other way.
그런데도 언론은 한국이 지금 납치를 허용하고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보도하기를 꺼려합니다. 왜 2025년 이 나라에서 '어린이 납치는 나쁘다'와 '이미 아기를 거의 죽인 사람들에게 양육권을 줘서는 안 된다'는 주요 요점을 담은 글을 써야만 할까요?
한국 내 부모 납치와 고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실과 재회 운동이 수십 년 동안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 세대의 어린이들이 자라면서 자신도 거짓말을 들으며 자랐다는 사실을 알게 되도록 말입니다. 그리고 부모가 자신을 버린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머물기 위해 열심히 싸웠지만 이기적인 부모와 현실을 외면한 법 체계로 의해 사랑하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차단된 채 영원히 그들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을요.
Currently with the obstinate norm of sole custody and the law enforcement’s unwillingness to enforce court orders, it hard to know where the future of these children lie. Unless Korea’s custody system changes to both prevent child abduction and recognize that joint custody is in the best interest of both parents and child in most custody cases, tragedies like Courtney’s will continue to occur. And one thing we can be sure of is that history will not look kindly on those that sided with child abductors and abusers.
However, with many developed countries advocating for joint custody, as well as the UN children’s rights committee trying to protect parental rights by supporting the Hague convention, we can have careful optimism that Korea will eventually step up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Let’s hope that they recognize this sooner rather than later. The welfare, and possibly even lives, of children are at stake.
현재 단독 양육권이라는 고집스러운 규범과 법원 명령을 집행하려는 법 집행 기관의 의지 부족으로 인해 이 아이들의 미래가 어떻게 될 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한국의 양육권 제도가 자녀 유괴를 예방하고 대부분의 양육권 사건에서 공동 양육권이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한, 코트니와 같은 비극은 계속 일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확신할 수 있는 한 가지는 역사가 자녀 유괴범과 학대자 편을 든 사람들을 호의적으로 보지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선진국이 공동 양육권을 옹호하고 유엔 아동 권리 위원회가 헤이그 협약을 지지하여 부모의 권리를 보호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한국이 결국 국제 기준에 도달할 것이라는 신중한 낙관론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들이 늦기보다는 일찍 이것을 인식하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의 복지, 그리고 어쩌면 그들의 생명까지도 걸린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Thank you to Jay Sung for all his work on fact checking, editing and translating this article.
To follow Courtney Lynn, visit Courtney the enthusiast - YouTube or Courtney_the _enthusiast (@courtney_the._ent) | TikTok
To support Courtney’s legal battle, go to Fundraiser by Dianne Cook : Support Courtney's Fight for Family Unity
To sign a petition aimed at reuniting Courtney and her son and press for changes in South Korean custody laws, go to Petition · Support Courtney's Fight to Reunite With Her Son. - United States · Change.org
To sign a petition aimed at reuniting all children abducted to South Korea with their left behind parents, go to Petition · Reunite All Children Abducted to South Korea With Their Left-Behind Parents - United States · Change.org
To follow Jay Sung, visit 성준 Bryan Sung - YouTube or 성준이 집으로 돌아오는 날까지 : 네이버 블로그
To follow Mike Fallon, visit Bring Baby Mike Home! | Facebook
References
1 - Korean husband abuses American wife, abducts her child in Korea | Courtney’s Story
2 – Son kidnapped and witheld by MIL and husband in South Korea 시어머니 와 남편 우리 아기 남치했어요 대한민국 /폭행 하는 남편
3 - South Korea - Find My Parent
4 - [Feature] My stolen children
5 - Vietnamese Mother Denied Custody of Biological Children - The Korea Times
6 - “5년간 아들 못 만났다”…‘온몸 멍 사망’ 초등생 친모, 前남편 ‘고소’ - 헤럴드경제
7 - American father reunites with children 4 years after kidnapping by Korean spouse - The Korea Times
8 - 6th enforcement failure (6차 집헹 실패) 11/7/2024
9 - "한국, 아동 탈취범 안전지대" 미 의회서도 질타 쏟아졌다 | 중앙일보
10 - After temporary custody court (bad news)
11 – Courtney_the _enthusiast (@courtney_the._ent) | TikTok - 2024 - 7- 21
12 – Courtney_the _enthusiast (@courtney_the._ent) | TikTok 2024 - 11 -13
13 – Courtney_the _enthusiast (@courtney_the._ent) | TikTok 2024 - 1 - 15
15 - Adoption fraud was widespread for many South Koreans adopted into Western countries, AP finds